전체 글296 [BREAK(P)] FOR~NEXT 강제 종료 BREAK FOR~NEXT 명령에 의한 반복 처리를 강제적으로 종료하고, Pn으로 지정된 포인터로 실행위치를 이동 Pn에는 동일 프로그램 파일 내의 포인터만 지정 가능 D : 반복 잔여수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번호 Pn : 반복 처리를 강제 종료했을 때의 분기 대상 포인터 번호 FOR~NEXT 명령 사이에서만 사용 가능 하나의 네스팅에 대해서만 사용 가능 프로그램 3 : FOR~NEXT 명령어로 구간 K100 번 반복 실행 5 : INC 명렁어로 반복문 돌 때마다 D0 값 1씩 증가 8 : =조건 명령으로 D0이 K30이 됐을 때 FOR~NEXT문을 빠져나온다 D1에 남은 반복 횟수를 저장한다 P0, 지정된 포인터로 점프한다. 2020. 11. 12. [FOR~NEXT] 구조화 / 구간 반복 명령어 FOR~NEXT FOR~NEXT 명령간의 처리를 N회 실행 N은 1~32767을 지정할 수 있음(0>=N의 경우 N=1과 동일) FOR~NEXT 명령 간의 처리를 하지 않을 때는 CJ, SCJ 명령으로 점프 FOR의 네스팅은 16중까지 가능 사용 가능 디바이스 및 사용법 설정 데이터 프로그램 인덱스 레지스터 Z, V 디바이스 수식용으로 사용하는 데이터 레지스터 MuN 타입의 경우 접점과 코일에서 이용 불가 MuN, MuU 타입의 경우 접점과 코일에서 인덱스 레지스터를 이용 가능 인덱스 레지스터 저장 값에 따라 명령의 Source, Destination 영역이 가변 다른 디바이스와 같이 사용 ( D0001Z01 = D0001 + Z01) 3: MOV 명령어로 Z3에 상수 0값을 전달 6: FOR~NEXT .. 2020. 11. 11. [MELSEC PLC 메모리] 각 디바이스에 대한 설명 입력 X PLC 입력 유닛에 연결된 입력 장치(스위치, 센서) ON/OFF 데이터를 저장하는 디바이스 입력 데이터는 PLC CPU에 저장 코일로는 사용 불가 접점 사용수는 제한 없음 출력 Y PLC 출력 유닛에 연결된 출력 장치(모터, 램프, 솔레노이드) ON/OFF(연산 결과)를 저장하는 출력 디바이스 코일 및 접점으로 사용가능 동일 디바이스의 출력 코일은 두번 이상 사용 불가 내부릴레이 M CPU 외부로 직접 출력할 수 없는 PLC 내부 보조릴레이 CPU ON/OFF 접점 데이터를 저장 하는 비트 디바이스 파라미터에서 휘발성, 불휘발성 영역으로 가변이 가능 (Default는 휘발성) 프로그램에서 접점 및 코일로 사용가능 출력 코일은 두번 이상 사용 불가 래치 릴레이 L 내부 릴릴레이와 동일 불휘발성 .. 2020. 11. 9. [16비트(1워드)] PLC 메모리 저장 용량 / 1워드 2의 보수 최대값 [MOVP K15 K4M13] 상수 15를 M13부터 16비트 영역(즉, -32767~32767)에 저장 (1111를 0000 0000 0000 0000에 저장) 결과 : 0000 0000 0000 1111 M28/M27/M26/M25 M24/M23/M22/M21 M20/M19/M18/M17 M16/M15/M14/M13 ***참고 [MOVP K32767 K4M13] 이면 0111 1111 1111 1111 저장(32767) [MOVP K32767 K1M13] 이면 0000 0000 0000 1111 저장(15) [MOVP K-32767 K4M13] 이면 1000 0000 0000 0001 저장(-32767) [MOVP K-32767 K1M13] 이면 1000 0000 0000 0001 저장(1) 최대치 .. 2020. 11. 9. [예제] 스캔타임 이용해서 스위치가 ON 때 마다 출력 ON, OFF컨트롤 X, Y , M만 사용해서 스위치 ON될 때 코일Y ON/OFF 되도록 2020. 11. 9. [예제] NOT 으로 하나만 ON되면 출력ON되는 프로그램 문제 켄베이어 벨트 위 물건을 확인하는 센서가 하나라도 ON 되면 컨베이어가 계속 돌아가는 프로그램 프로그램 2020. 11. 9. [전기선] 종류 블로그 2020. 11. 6. [데이터 전달(저장)] 함수에 사용되는 파라미터 순서 및 적용 방법 이전 글에서는 상수 값(K)만을 가지고 디바이스나 입력(X), 출력(Y) 또는 보조릴레이(M), 래치(L) 등의 메모리에 데이터 값을 저장하는 방법을 정리 했었는데 다시한번 메뉴얼을 보면서 메모리에 저장된 값을 다른 메모리에 저장할 수 있었다. 메모리 종류 메모리 저장 형태(진수) x 16 Y 16 R 16 W 16 B 16 D 16 F 10 M 10 TS 10 TC 10 CS 10 CC 10 TN 10 S 10 L 10 FMOV 사용한 예시 [FMOV D0 K1Y0 K5] D0에 저장된 16비트(1워드) 값중 K1(4비트)만 전달 [0000 0000 0000 0000] Y0부터 Y3까지 4비트에 저장 K5점 생성 (즉, Y0~Y3 / Y4~Y7 / Y8~Y1B / Y1C~YF) [FMOV K2X20 D.. 2020. 11. 6. [OHCV] Overhead Conveyor System 천장 물류자동화 이동장치 OHCV (Overhead Conveyor System) 반도체 LIne 천장에 설치된 Conveyor를 따라 이동하며 Cassette, Tray 등 제조공정 간 이/적재 및 저장하는 무인 자동 반송시스템 2020. 11. 4. 이전 1 ··· 14 15 16 17 18 19 20 ··· 33 다음 LI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