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296

[접지] 이상 전압 흘려보내기 접지(接地) 또는 그라운드(ground, earth)는 전기 회로나 전기 기기 따위를 도체로 땅에 연결하는 것을 말한다. 이상 전압 발생시에도 고장 전류를 표면 전위가 영전위인 대지로 흘려보내, 같은 전위로 유지하여 기기와 인체를 보호한다. 어스(earth), 지락이라고도 부른다. 금속체와 대지를 접속하는 단자를 접지전극(grounding electrode)라고 하며 보통 지중에 매설되어 있는 도체가 사용된다. 접지전극과 접지를 하는 설비를 연결하는 도선을 접지도선 또는 접지선(grounding conductor)이라고 한다. [출처자료] 위키백과 2020. 12. 8.
[과전류] 허용치 이상의 전류가 흐름 전류 : 눈에 보이지 않는 전류의 개념은 우리가 잘 알고 있는 물의 흐름으로 바꾸어 생각하면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전하를 물의 입자로 바꾸어 생각한다면, 전하의 흐름인 전류를 물 입자의 흐름으로도 이해할 수 있음 단위 시간당 배관의 한 단면을 지나는 물의 입자량을 유량이라고 말하는 것과 비슷하게, 단위 시간당 도선의 한 단면을 지나는 전하량을 전류의 세기(A)라고 표현한다. 전류의 세기는 A로, 1A(암페어)란 1초 동안 도선의 한단면을 6.25*10^18개의 전자가 지날 때 전류의 세기를 말한다. 수도관 속을 흐르는 물과 비유하여 수도관은 도선, 물 펌프는 전지 라고 생각 할 수 있음 과전류 : 보통의 모든 전기기기에는 I=V/R[A], P=VI[W]라는 공식에 따라서 사용할 수 있는 전압과 기기의 .. 2020. 12. 8.
[EOCR] 전자식 과전류 계전기 EOCR(Electronic Over Current Relay) 모터 등이 연결돼 구동 중 과전류에 의해 장치가 파손되거나 오작동 될 경우에 대비해 설치하는 하드웨어이다. 일정 시간 과전류를 무시하거나, 일정 값 이상의 과전류가 흐르면 전류를 끊음 반도체 무접점을 이용해 반응속도가 빠르고 신뢰도가 높음 열동계전기 대신 널리 사용되고있다. 2020. 12. 8.
[플립플롭] ExOR 간단한 프로그램밍 설명 x1 . . y1 --------- ON . . ON off . . ON ON . . off off . . off X0이 ON됐을 때 Y0 ON X0이 OFF됐을 때 Y0 ON X0이 ON됐을 때 Y0 OFF X0이 OFF됐을 때 Y0 OFF 즉, X0이 ON 됐을 때 Y0의 상태 변화 2020. 12. 8.
[예제] BCD 명령어로 FND표현시 저장되는 값은? FND란? Flexible Numeric Display(가변 숫자 표시기)로 LED(발광바이오드)를 사용해서 숫자 모양을 하나로 만들어 놓은것. 풀이 BCD코드는 2진화 10진코드로 0~9999까지 표현가능 한 FND와 같은 디지털 신호로 출력할 때 사용하는 PLC명령어이다. D0에 저장된 0010 0111 0000 1111을 10진수로 변환 했을 때 9999라는 값이 나온다. 2020. 12. 8.
[워드 장치 레지스터] D, T, C, R, W 데이터 레지스터 D 타이머 T의 현재값 카운터 C의 현재값 파일 레지스터 R 링크 레지스터 W MELSEC-A의 각 워드 장치의 레지스터는 16비트로 구성돼 있다. 2020. 12. 8.
옴의 법칙 I = V/R 옴의 법칙(Ohm's law)은 도체의 두 지점사이에 나타나는 전위차(전압)에 의해 흐르는 전류가 일정한 법칙에 따르는 것을 말한다.[1] 두 지점 사이의 도체에 일정한 전위차가 존재할 때, 도체의 저항(resistance)의 크기와 전류의 크기는 반비례한다. {\displaystyle I}I는 도선에 흐르는 전류로 단위는 암페어(A,ampere), {\displaystyle V}V는 도체에 양단에 걸리는 전위차로 단위는 볼트(V,volt), 그리고 {\displaystyle R}R는 도체의 전기저항(resistance)으로 단위는 옴(Ω, ohm)이다. 특히, 옴의 법칙에서 저항 R는 상수이고, 전류와 독립적이다.[2] 2020. 12. 3.
[접점] NO, NC, C(CO) 접점 전류가 끊어져 정지된 장비를 살리기위해 전류를 연결시키거나 그 반대의 동작시키기 위해 전기적 제어를 하는것이 접점이다. 종류 접점은 A접점, B접점, C접점이 있다 A접점 작동하는 접점 Arbeit Contact의 앞글자를 따서 A접점이라 함 항상 열려있는 접점 Normally Open Contact로 'NO' 접점 이라고도 한다. 초기 상태에는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떨어져 있으며, 외부에서 힘이 가해주면 고정접점과 가동접점이 붙어 전류가 흐른다. A접점 표시 프로그램상의 표시 2020. 11. 27.
[배선] 하드웨어 장치 및 전선 배선 엘리베이터 배선, 건물 배선, PLC 판넬 배선, 자동차 배선, 비행기 배선, 컴퓨터 배선..... 등 목적에 따라 전압 및 전류의 용량이 다르고, 온도, 수분, 햇빛 화학 물질 등 환경 조건에 따라서도 배선 방법이나, 사용하는 전선의 종류가 달라 질 수 있다. 사용된 전선 및 하드웨어 [선] AC선 DC선 CCLink선 접지선 [하드웨어] 누전차단기 CP I/O Powr Surfly 부스바 Safety Countroller Noise Fillter hub PLC 단자대 인버터 TIC(온도저절계) SCR 전력조절계 온도컨트롤러 R4T [공구] O형, Y형, 1자형 터미널 압축기 드라이버 전동드릴 시계드라이버 덕트 수축튜브 기리 탭 자 몽키스패너 참고 : 하드웨어 판매 사이트 MISUMI (장비 가격.. 2020. 11. 27.
LIST